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네이버블로그글쓰기

onion 0 12
네이버블로그글쓰기 일러스트=한상엽 저녁으로 뭘 먹을지 고민하다 떠오르는 메뉴가 있으면 손이 저절로 배달음식앱을 연다. ‘주문하기’를 누르면 30분 만에 따끈한 음식이 식탁 위에 올라올 것을 안다. 무료 배달에 도달하려면 평소 먹는 양보다 1.5배는 더 주문해야 하지만 기꺼이 과식을 받아들인다. 코로나 시대를 거치고 나니, 나도 모르게 배달앱 단골손님이 됐다.돈을 짜임새 있게 쓰며 재테크를 하고, 노후 대비까지 하는 사람들을 보면 경외감마저 든다. 나는 그런 거 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 지경인 사람이 어떻게 불안정한 프리랜서 생활을 20년 넘게 지속해 왔는지 의문이다. 하루 때우고 하루 막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하지만 더는 이렇게 살면 안 되겠다는 자각이 들었다. 늦어도 너무 늦은 자각이었지만 지금이라도 긴축 재정을 수립하기로 했다. 그런데 뭘 어떻게 하면 되지?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돈이 없으니 적금은 패스. 예금할 돈이 있을 리 없으니 예금도 패스. 코인이나 주식은 전혀 알지 못하는 세계이니 패스. 부동산? 그런 게 있다고는 하던데 말이죠.먼저 나의 한 달 고정 지출을 따져봤다. 관리비, 휴대폰 요금, 인터넷 요금, 수도 요금, 전기 요금 등 가만히 숨만 쉬어도 꽤 많은 돈이 나갔다. 그렇다면 카페를 덜 가야겠지. 빵을 덜 사 먹어야겠지. 줄여야 할 것들은 뻔히 알고 있지만 실천하기에는 자신 없었다. 고민 끝에 매달 사용할 수 있는 돈의 액수를 정해놓기로 했다. 평소 대부분의 지출은 신용카드를 사용하는데, 그러다 보니 오늘 쓴 돈은 내일의 내가 갚아줄 것이라는 그릇된 신념을 갖게 되었다. 이제부터는 매달 신용카드로 긁을 수 있는 액수를 정해두고 그 금액을 넘지 않기로 하자. 오늘의 내가 쓴 돈은 내일의 내가 갚아야 한다!결심 후, 이삼일에 한 번꼴로 사용 가능 잔액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며 지출하고 있는데, 3주가 채 지나지 않아 정해진 돈을 다 써버린다. 그래서 나머지 기간에는 ‘냉털(냉장고 털기)’이 필수다. 잔고만큼이나 부족한 음식 솜씨를 끌어모아 별도의 소비 없이 밥상을 차린다. 참으로 단출한 밥상 앞에 앉을 때마다 나는돈을 빌려줄 때 언제 받을지를 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갚겠다는 날 빌린 돈을 갚지 않으면 신용을 잃는다. 은행이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리고 만기 때 갚지 못하면 기업은 부도나고 개인은 신용불량자가 된다. 만약 1년 후 갚겠다고 돈을 빌린 후 1년이 지나자 이번엔 100년 있다가 돈을 갚을 테니 만기를 연장해 달라고 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개인 간 거래는 물론 은행이 이런 제안을 받아들일 리가 만무하다. 그런데 이런 엄청난 일이 국제 사회에서 벌어질 상황에 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는 신세계(?)인 ‘트럼프 월드’에서 일어날 일 중 하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선거 운동을 할 때마다 ‘저금리 약달러 고관세 저물가’를 외쳤다. 높은 관세를 매겨 수입을 줄이고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린다. 저금리를 통해 기업 자금조달 비용을 줄여 경쟁력을 높인다. 또 소비자들을 위해 물가를 낮춘다. 달러 약세를 유도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한다. 좋은 것만 다 갖다 붙인 정치적인 공약이었다. 경제학자들은 비웃었다. 관세를 높이면 이는 물가상승을 유도한다. 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금리를 올린다. 금리를 높이면 달러 강세를 유도해 미국의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킨다. 서로 모순되는 정책을 펴겠다는 트럼프의 전략은 립서비스에 그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트럼프는 ‘신의 한수’가 있다고 봤다. 스티브 미란이라는 경제학자가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미란은 현재 미국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이다. 그는 지난해 11월 허드슨베이캐피털 전략담당자로 근무하면서 ‘글로벌 무역시스템 재구성 사용자 가이드’라는 보고서를 냈다. 이 보고서에 트럼프가 꽂혔다.미란 보고서의 핵심은 미국이 글로벌 기축통화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면서 저금리와 약달러를 유도해 미국의 수출경쟁력을 높이고 미국을 다시 제조업 강국으로 만드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트럼프 선거 공약을 모두 충족시키는 복안이다. 처음에는 변방 이코노미스트의 공상적인 아이디어로 치부됐지만 트럼프가 내세우는 방안들이 보고서와 맞아 떨어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실에 대한 진단은 다른 보고서와 다르지 않다. 미국의 무역적자와 네이버블로그글쓰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