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링크구매
【 앵커멘트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이제 관심은 60일 내 진행될 대선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회팀 강영호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1 】 강 기자, 각 당 상황으로 가보겠습니다. 탄핵 찬반으로 의견이 갈렸던 국민의힘 상황 먼저 짚어보죠.【 답변1 】 앞선 기사에서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어수선한 국민의힘 상황 보셨을 텐데요. 찬탄파와 반탄파 간 앙금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 후보까지 선출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당 상황을 수습하는 동시에 차기 대선도 준비해야 한다는 건데요. 최대한 빨리 후보자 선출을 마치고 대선 후보를 중심으로 당내 상황을 수습할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1-1 】 그럼 국민의힘 잠룡들 상황보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지지율이 두드러졌는데 지형에 변화가 있을까요?【 답변1-1 】 탄핵 심판이 지연되면서 탄핵을 반대하는 반탄파와 친윤계의 목소리가 커져왔던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나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차기 대선 후보로 존재감을 나타냈는데요. 홍 시장의 경우 대선 출마를 굳힌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김 장관은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 헌재에서 윤 전 대통령의 잘못이 모두 인정되면서 찬탄파의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도 나옵니다. 그간 숨죽여왔던 '찬탄파' 주자인 한동훈 전 대표나 유승민 전 의원이 다시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범보수로 묶이는 개혁신당의 이준석 의원도 대권 도전을 시사해온 만큼 본격 레이스에 뛰어들 전망입니다.【 질문1-2 】 여전히 국민의힘 내 다수는 반탄파잖아요. 당내 지지 기반 없이 찬탄파가 대선 후보로 선출되는 게 가능할까요?【 답변1-2 】 오늘 발표된 한 여론조사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래 정치 지도자를 묻는 질문에서 중도층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를 보면요. 이재명 대표가 38%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지만, 의견 유보는 이보다 높은 39%로 나타났습니다. 중도층에선 여전히 후보를 정하지 못했다는 뜻인데, 국민의힘【 앵커멘트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이제 관심은 60일 내 진행될 대선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회팀 강영호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1 】 강 기자, 각 당 상황으로 가보겠습니다. 탄핵 찬반으로 의견이 갈렸던 국민의힘 상황 먼저 짚어보죠.【 답변1 】 앞선 기사에서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어수선한 국민의힘 상황 보셨을 텐데요. 찬탄파와 반탄파 간 앙금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 후보까지 선출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당 상황을 수습하는 동시에 차기 대선도 준비해야 한다는 건데요. 최대한 빨리 후보자 선출을 마치고 대선 후보를 중심으로 당내 상황을 수습할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1-1 】 그럼 국민의힘 잠룡들 상황보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지지율이 두드러졌는데 지형에 변화가 있을까요?【 답변1-1 】 탄핵 심판이 지연되면서 탄핵을 반대하는 반탄파와 친윤계의 목소리가 커져왔던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나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차기 대선 후보로 존재감을 나타냈는데요. 홍 시장의 경우 대선 출마를 굳힌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김 장관은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 헌재에서 윤 전 대통령의 잘못이 모두 인정되면서 찬탄파의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도 나옵니다. 그간 숨죽여왔던 '찬탄파' 주자인 한동훈 전 대표나 유승민 전 의원이 다시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범보수로 묶이는 개혁신당의 이준석 의원도 대권 도전을 시사해온 만큼 본격 레이스에 뛰어들 전망입니다.【 질문1-2 】 여전히 국민의힘 내 다수는 반탄파잖아요. 당내 지지 기반 없이 찬탄파가 대선 후보로 선출되는 게 가능할까요?【 답변1-2 】 오늘 발표된 한 여론조사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래 정치 지도자를 묻는 질문에서 중도층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를 보면요. 이재명 대표가 38%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지만, 의견 유보는 이보다 높은 39%로 나타났습니다. 중도층에선 여전히 후보를 정하지 못했다는 뜻인데, 국민의힘 내에서 상대적으로 중도 확장성이 높은 한 전 대표나 유 전 의원 등은 이를 집중 공략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한 국민의힘 의원은 MBN과의 통화에서 "찬탄파의 입지는 넓어질 것이나, 당원들의 지지는 여전히 반탄파에 있다"며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습니
백링크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