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경운학교와 교동초등학교가 휴교로 한적한 모습을 하고 있다. 박시몬 기자 4일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전국 10개 시도교육청이 "현장 판단에 따라 학생들이 교실에서 TV 생중계로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해달라"고 각 학교에 요청했다. 민주주의 절차와 헌법재판소의 역할을 생생히 보고 이해할 계기이기 때문이다. 현장 교사들은 취지에는 대부분 동의하면서도, 구체적인 지도법을 두고는 깊은 고민에 빠졌다. 아이들의 이해를 도우려고 구체적인 상황을 설명하려다, 자칫 학부모로부터 "교사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했다"는 민원에 시달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진보 교육감들, "탄핵 심판 선고 생중계로 자율 시청" 3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10곳이 지역 내 초중고교에 공문을 보내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TV 생중계로 자율 시청할 수 있음을 안내했다. 전남교육청은 공문에서 "민주주의 절차와 헌법 기관의 기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과정으로 활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4·2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김석준 부산시 교육감도 첫 지시 중 하나로 탄핵 심판 선고를 학교에서 볼 수 있도록 조처했다.서울과 광주, 경남, 세종, 울산, 인천, 전북, 충남교육청도 비슷한 내용의 공문을 일선 학교로 내려 보냈다. 진보 교육감이 있는 지역은 모두 시청을 권장한 것이다.현장 교사들도 대통령 탄핵 심판이 현대사의 큰 사건인 만큼 아이들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 다만 현실적으로 두 가지 고민에 부딪힌다. ①단순 TV 시청이 교육 효과가 있을지 ②교육 과정에서 자칫 "교사의 정치적 의무를 위반했다"는 오해를 받지는 않을지다. 장세린 교사노조 대변인은 "교육 효과가 있으려면 아이들과 선고 과정을 지켜보는 것 외에 토론도 하고, 질문도 받아야 한다"며 "이때 어느 정도 수위로 답해야 할지 등을 두고 교사마다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소하게는 생중계를 보여줄 때 진보 또는 보수 성향으로 알려진 방송사 중 어떤 채널을 틀어 놓아 첫 단편소설집을 펴낸 스페인 영화감독 페드로 알모도바르(76)와 첫 장편을 펴낸 할리우드 배우 톰 행크스(69). 연합 AP·EPA 그를 모른다는 이가 없을망정 혹여 보지 않은 그의 영화가 없달망정, 소설가 이름으로는 낯설다. 스페인 출신의 그 작가가 2023년 펴낸 소설집엔 이런 문장이 박혀 있다. “‘기생충’은 훌륭한 영화지만, 계속되는 줄거리의 반전과 극단적인 전환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각본에 다소 의문을 가질 수 있다. (…) 단정적으로 말하고 싶지는 않지만, ‘기생충’의 세번째 파트는 완전히 다른 영화라는 느낌이 든다.” ‘기생충’은 봉준호(56) 감독의 2020년 오스카상 4개 부문 수상작 아닌가. 봉 감독의 작품을 어찌 됐건 ‘디스’한 이 소설가의 이름은 페드로 알모도바르(76). 맞다, 칸영화제, 오스카상, 골든 글로브 각기 2회 수상 등의 이력으로도 다 설명하기 어려운, 스페인을 대표하는 세계적 영화감독이자 각본가이자 제작자. 신간 ‘마지막 꿈’은 알모도바르의 첫 단편소설집으로 “여태껏 일기조차 제대로 써본 적이 없다”는 서문을 끝내자마자 단편과 허구가 가미한 자전 에세이까지 12편을 엮고 있다. 색, 미장센을 통한 이미지와 상징의 미학으로 삶의 모순을 관통해 온 거장답게, 모순적일 만큼 솔직한 인물과 의식의 흐름을 통해 독자는 지금껏 어떤 작품보다 ‘알모도바르라는 장르’에 근접할 기회를 얻는다. 두 가지 특징 덕분일 것이다. 실제에 허구를 세공해낸 서사는 거개 알모도바르 자신에게서 배태된다. 직접 연출한 26편 영화에 담지 못한 인물, 담았되 납작해지고 만 인물이 감춘 본디 이야기가 여기 있다. “여러 편의 영화를 만들고 나서야 나의 수준과 역량이 소설가가 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거장의 말은 장르의 위계나 겸손의 미덕과는 무관해 보인다. 외려 ‘나쁜 소설’을 써서라도 이야기의 제국을 완성하겠다는 욕망의 적나라한 알리바이다. 마지막 꿈 l 페드로 알모도바르 지음, 엄지영 옮김, 알마, 1만8800원 소설집을 갈무리하는 12번째 꼭지 ‘나쁜 소설’은 영화와 문학의 차이, 감독과 소설가의 차이에 대한 통찰로 견인된다. 와중에 미국 감독 쿠엔틴 타란티노(62)가 영화 직후 동명의 소설로도 출간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