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onion 0 24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수필가, 화가, 미술평론가로 활동한 예술가이자 시인 이상과 화가 김환기의 아내였던 김향안(1916~2004)의 일대기가 뮤지컬 무대에서 생생하게 펼쳐진다. 김향안의 인생을 두 개의 시간축으로 나뉘어 사랑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한층 더 드라마틱하게 그려낸다. 뮤지컬 ‘라흐헤스트’ 프레스콜(사진=연합) 김향안의 삶을 모티브로 한 ‘라흐 헤스트’가 2년 만에 새 시즌의 막을 올렸다. 2022년과 이듬해 각각 초연과 재연을 올린 창작 뮤지컬로 ‘제8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작품상(400석 미만), 극본상, 음악상(작곡) 등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3연에 해당하는 새 시즌은 지난달 25일 서울 대학로 예스24스테이지 1관에서 막을 올렸다. 이상과 만나고 사별했던 동림(김향안의 본명)의 삶을 순차적인 시간의 흐름으로, 김환기와 만나고 여생을 함께한 향안의 삶을 시간의 역순으로 전개하며 예술과 사랑이 김향안의 인생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를 입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이 관극 포인트다. 김은영 연출은 1일 열린 프레스콜에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동림과 향안의 공간을 섬세하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고, 두 사람이 마주하는 후반부 장면을 위한 디테일 강화에도 신경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뮤지컬 ‘라흐헤스트’ 프레스콜(사진=연합) 동림 역에는 홍지희, 김주연, 김이후를, 향안 역에는 이지숙, 최수진, 김려원을 캐스팅했다. 김주연, 김이후, 이지숙, 최수진 등 기존 시즌에서 관객들의 호응을 얻었던 배우들이 재합류한 가운데 홍지희와 김려원이 새롭게 투입됐다. 김려원은 “재연 때 객석에서 지켜본 작품”이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뀌는 인물의 아픔과 생각이 잘 드러나도록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이후는 “동림이 감정을 오롯이 꺼내며 향안에게 기대어 위로받는 장면을 굉장히 사랑한다”면서 동림과 향안이 만남이 이뤄지는 극 후반부 장면을 주목해달라고 당부했다.아울러 김주연은 “일상 속에서 나 자신을 응원하는 순간이 많지 않기에 무대에서나마 행복함과 감사함을 느끼고 있다”며 “작품을 통해 관객들의 마음을 따뜻 지난달 27일 밤 경남 산청군 시천면의 야산에서 불길이 번지고 있다. 이번 산불로 산청에선 산림 1858ha가 피해를 입었고, 진화대원 등 6명 사망했고, 주택 전소 22채 등 69곳의 시설물이 불에 탔다. 연합뉴스 생물다양성 보전·대기질 개선 등 산림 주요 기능 잃어 주택·시설물·농작물 등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달할 듯 지역경제 직격탄…지자체 “방문해주는 게 돕는 일” 경북 5개 시군 등 영남지역 위주로 발생했던 대형 산불 진화가 마무리되면서 피해 규모와 피해액 산정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번 산불로 훼손된 산림의 공익적 가치만 따져도 2조원에 육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2일 행정안전부 집계를 보면 이번 산불의 전체 영향구역은 4만8238.61㏊로 추정된다. 이 중 경북이 4만5157㏊로 94%를 차지한다. 산불 피해액은 면적만으로 단순 계산할 수 없고, 주택이나 시설 등의 피해 정도가 반영돼야 한다.산정 방식도 중요하다. 산불영향구역을 근거로 산불로 인한 산림의 공익적 가치 훼손 정도를 추정할 수는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의 공익기능 가치가 2020년 기준 259조원이라고 밝혔다. 물 저장 기능과 경관 제공, 휴양 기능, 생물다양성 보전, 대기질 개선 등의 가치를 포함한 것이다.우리 국토의 산림면적은 630만㏊로, ㏊당 공익적 가치는 약 4110만원이다. 산불영향구역이 4만8238.61㏊인 점을 고려하면 산불로 훼손된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약 1조9826억원으로 추정된다.다만 산림 피해 조사가 진행되면 실제 산불로 인해 훼손된 산림 면적은 다소 줄어들 수 있다. 기존 역대 최대 피해로 기록된 산불은 2022년 울진·삼척 산불(9086억원)이다. 이 산불의 경우 진화 당시 영향구역이 2만923㏊로 추정됐다가 실제 피해 조사를 거쳐 최종 집계된 피해 면적은 1만6302㏊로 영향구역의 약 78% 수준이었다.산불은 자연재난이 아닌 사회재난으로 분류된다. 거의 대부분 실화와 불법 소각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특성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산불 피해자에겐 행안부의 ‘사회재난 구호 및 복구 비용 부담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