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정수근 기자]▲  한국 고유종

onion 0 10
[정수근 기자]▲  한국 고유종 [정수근 기자]▲ 한국 고유종이자 멸종위기 1급 물고기인 흰수마자. 내성천 회룡교 상류에서 목격된 모습이다.ⓒ 성무성 흰수마자란 물고기를 아시나요? 낙동강(내성천)이 고향인 이 물고기는 우리나라에서밖에 살지 않은 한국 고유종으로 멸종위기에 놓여 있는 귀한 물고기입니다. 우리나라 하천이 주로 모래강이고 그 모래가 풍성한 강의 고운 모래가 있는 여울에서 살아가는 독특한 물고기입니다. 모래무지란 물고기의 사촌 물고기로 학명에 '낙동(nokdongensis)'이란 이름이 들어가 있을 정도로 예전 내성천을 비롯해 낙동강에서 흔했던 물고기입니다. 모래가 풍성한 낙동강과 내성천이다 보니 이들이 살기에 적당한 환경이어서 널리 번식할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런데 이 물고기가 지금은 점점 자취를 감춰 멸종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수질이 악화된 측면도 있겠지만 문제는 모래가 사라진 현실에 있습니다. 그것도 입자가 고운 모래가 말입니다. 내성천은 고운 모래의 산실이었습니다. ▲ 모래강 내성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넓은 모래톱 위를 맑은 강물이 스치듯 흘러간다.ⓒ 정수근▲ 가운데 조금 흐릿하게 보이는 친구가 흰수마자ⓒ 정수근 소백산을 비롯해 주변 산에 화강암이 많은데 그 화강암이 풍화 작용의 여러 단계를 거쳐서 모래가 돼 강으로 끊임없이 유입되니 모래가 사시사철 풍성했습니다. 그런데 그 모래가 끊어지게 됩니다. 바로 이명박의 4대강사업 때문입니다. 그 4대강사업 탓에 낙동강에서 더 이상 흰수마자가 목격되지 않습니다. 낙동강에선 '멸종'된 것입니다. 그런데 내성천에서마저 그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4대강사업으로 들어선 영주댐 때문입니다. 내성천 중상류에 거대한 댐이 들어서자 하류로 모래의 흐름이 차단되게 됩니다. 또 4대강사업의 영향으로 낙동강에서 모래가 수억 톤이 사라지자 내성천에 그나마 남아 있던 모래가 낙동강으로 끊임없이 흘러들어가고 있습니다. 그 결과 내성천의 그 고운 모래는 입자가 거칠어지고, 영주댐의 영향으로 내성천의 수질마저 악화되니까 그렇게 흔했던 흰수마자가 이제는 겨우 겨우 그 명맥을 잇고 있을 정도로만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것도 수차례 흰수마자 치어 방류 행사를 통해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공격을 받은 중국 정부가 외화유출 및 경기침체 걱정에도 불구하고 위안 가치를 연거푸 내려 수출 지원에 나섰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쉽사리 봉합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위안 가치가 앞으로 더 떨어진다고 내다봤다. 홍콩 시장의 역외 위안 환율은 트럼프의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장중 달러당 7.4273위안까지 올랐다. 그 결과 위안 가치는 2010년 역외 위안시장 출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다. 환율은 이후 달러당 7.38위안 선에 머물며 다소 진정세를 보였으나 중국 안팎의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지우지 못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8일 역내 위안 환율을 달러당 7.2038위안으로 고시하면서 약 19개월 만에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7.2위안을 넘기더니, 9일 환율도 7.2066위안으로 고시했다. 코로나19 이후 불황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중국은 자본유출을 막고 중국 시장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환율이 달러당 7.2위안을 넘지 않게 노력했다. 그러나 중국은 트럼프가 지난 1월 취임 이후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생산 단속을 요구하며 중국 제품에 20%의 관세를 추가하고, 9일(현지시간) 84% 규모의 상호관세까지 발효하면서 수출길이 막막해졌다. 트럼프는 상호관세율을 당초 34%로 정했으나 중국이 지난 4일 미국 제품에 똑같이 34% 보복관세를 부과하자 상호관세율을 84%로 올렸다. 상호관세 시행에 따라 중국 제품에 부과된 미국 관세율은 104%에 이르렀다. 중국 정부는 9일 미국 상호관세 발효 당일 미국에 부과하는 보복관세를 미국과 같은 84%로 올리고 10일부터 발효한다고 알렸다. 트럼프는 상호관세 발효 직전 연설에서 중국이 통화 가치 절하로 환율을 조작했다면서 "이 게임은 그런 식으로 플레이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것이 중국 제품에 부과하는 104%의 관세가 그들이 협상할 때까지 유효한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동시에 중국이 "어느 시점에 협상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위안 가치를 내린다면 수출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올라가는 만큼 트럼프의 관세 공격에 따른 피해를 다소 줄일 수 있다. 다만 통화 가치를 급격하게 내린다면 중국 경제에 대한 대외 신뢰를 떨어뜨리고 자본유출을 [정수근 기자]▲  한국 고유종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