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식당·주점 등 외식업 다 악화 (

onion 0 13
식당·주점 등 외식업 다 악화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지난 11일 서울 홍대 부근 상업지역 모습. 2025.3.11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차민지 기자 = "경기는 나아질까요?"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지켜본 자영업자들은 실낱같은 기대감을 내비쳤다.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이후 4개월가량 이어진 정국 혼란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데 우선 안도하는 분위기다.서울 중구의 한 꽃 가게 점원은 "아주 지긋지긋했는데 이제 계속 싸우지는 않을 테니 좀 나아지지 않겠냐"며 "특히 꽃은 좋은 일이 많아야 잘 팔리는데 분위기가 좀 더 좋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은평구에서 부동산을 운영하는 A씨는 "사람들이 정국이 어찌 될지 모르니 집을 사거나 하는 큰 소비를 하지 않았다. 손님이 많이 줄어들었다"며 "이제 혼란스러운 싸움을 끝내고 빨리 안정을 찾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무엇보다 자영업자들은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이 암울한 사회 분위기의 전환점이 되길 바랐다.소상공인연합회는 이날 헌법재판소의 선고 직후 입장문을 내고 "경제적 불확실성을 걷어내는 데 온 국민이 힘을 하나로 모아나가야 할 때"라며 "지금껏 고양된 정치적 열기를 경제로 돌려 안심하고 생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자영업자들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도 분위기 반전을 촉구했다.중소기업계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수출에 직접 타격을 받기도 했었다.지난해 12월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3곳은 국내 정치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계약 취소, 해외 바이어 문의 전화 증가, 수·발주 지연 등의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는 이날 논평을 내고 "탄핵 인용 결정이 분열된 국론을 하나로 모아 대한민국이 새로운 성장의 길로 들어서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이제는 정치적 대립과 갈등을 봉합하고, 한국경제의 위기 극복과 역동성 회복을 위해 국민 모두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자영업자와 중소기업들은 그러나 당장 경기가 개선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하지 않았다.헌재의 선고로 탄핵정국은 해소됐지만 앞으로 치러야 하는 대통령 선거까지 정치적인 혼란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서다.매지난해 12월 국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후 진행된 여론조사를 분석한 결과 여론은 탄핵 찬반부터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승복까지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보다 더 극심하게 엇갈리고 있다.4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8년 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찬반 여론은 꾸준히 8대 2 구도를 그렸지만, 윤 전 대통령 탄핵의 경우 ‘12·3 비상계엄 사태’ 직후 8대 2 구도를 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며 점차 6대 4로 굳어졌다. 탄핵 찬성 목소리는 점점 줄고 반대 응답자는 많아지며 여론의 분열이 심화한 것이다.박 전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 직전(2016년 12월 2주) 조사에서 탄핵 찬성은 응답자의 81%, 반대는 14%였다. 헌재의 탄핵 결정 전 마지막 조사(2017년 3월 1주)에서도 응답자 77%가 탄핵에 찬성했고, 18%가 반대하며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 직후(지난해 12월 2주) 조사에서 탄핵에 찬성한다는 응답자가 75%였지만, 한 달 후(1월 2주)에는 11%포인트 줄어든 64%였다. 반대 응답자는 같은 기간 21%에서 32%로 높아졌다. 이후 찬반 여론은 소폭의 등락만 반복할 뿐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헌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여론도 8년 전보다 낮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직전 진행된 전국지표조사(NBS·4월 1주)에서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생각과 다르더라도 받아들이겠나’라는 질문에 50%가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고 답했다.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44%였다. 일주일 전(3월 4주) 조사보다 수용하겠다는 6%포인트 줄었고, 수용하지 않겠다는 4%포인트 증가했다. 양측의 응답률이 오차범위(±3.1%포인트) 내다.2017년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는 ‘나의 의견과 헌재 결정이 다르더라도 수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게는 70%대까지 형성됐다. 국민일보·한국사회여론연구소(3월 3∼4일) 조사에서 응답자의 73.4%가 ‘수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JTBC·한국리서치(3월 6∼7일) 조사에서도 63.9%가 승복해야 한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