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ER SERVICE

Help with inquiries and questions about We Energy

Question & Answer

[하남=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수도권 전력 공급에

smoot 0 21
[하남=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수도권 전력 공급에 핵심적 역할을 할 하남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HVDC변환소 증설사업이 재개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하남 동서울변전소에서 옥내화 사업을 위한 터파기 공사가 시작되고 있다.(사진=한국전력공사) 1일 한국전력(015760)공사에 따르면 한전은 기존 하남시로부터 인허가를 받았던 변전소 옥내화를 위한 토목공사를 지난달 31일부터 시작했다. 한전은 6996억원을 들여 하남시 감일동 산2번지 일대 연면적 6만4570㎡ 규모 동서울변전소를 옥내화하고, HVDC(초고압직류송전) 변환설비를 증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하지만 이 사업은 지난해 8월 하남시가 전자파 우려와 주민수용성 부족을 이유로 한전이 신청한 관련 인허가 4건을 불허하면서 암초를 만났다. 같은 해 12월 경기도 행정심판위원회는 하남시의 허가 거부처분을 모두 취소하는 판단을 내렸고, 사업 중단 7개월여 만에 공사가 재개됐다.사업 추진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주민 반대도 여론이 반전되고 있다. 하남 감일지구 주민자치회와 소음경관대책위 등 변전소 인근 주민들이 직접 감일지구 전역 51개소에서 전문측정기관을 통해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0.01μT(마이크로테슬라)~0.81μT라는 결과가 나오면서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와 유사한 수치의 전자파다. 국내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83.3μT 대비 100분의 1 수준의 전자파가 측정된 것이다.주민들의 이번 전자파 측정은 기준치 이하의 결괏값 외에도 그간 변전소에 대한 반대 일변도에서 여론 변화가 시작됐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한전은 하남시와 오는 4월까지 변전소 옥내화와 관련된 인허가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공사를 조속히 추진해 10개월 이상 지연된 공기를 만회할 예정이다.주민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8개의 변전소 경관개선안을 주민에게 제시하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주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 전자파에 대한 오해와 불신 해소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감일고 사거리를 시작주한미군이 1일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에 “잘못된 정보를 퍼트리지 말라(Don’t Spread incorrect information)”는 글을 올렸다. 소셜미디어에 ‘산불이 중국·간첩과 연관 있으면 주한 미군 투입이 가능하다’는 허위 정보가 확산된 데 따른 것이다. 주한 미군이 소셜미디어 글에 이처럼 즉각 반응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최근 X(옛 트위터) 등 온라인에서는 사상 최악의 피해를 입히며 열흘간 계속됐던 영남권 산불이 중국 또는 간첩 소행이라는 괴소문이 돌았다. 이런 가운데 한 X 사용자가 “산불에 간첩이나 중국 연관 있으면 바로 데프콘 계엄 미군 투입 가능”이라는 글을 올렸다. 이에 주한 미군은 공식 X계정 ‘U.S. Forces Korea’를 통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한 것이다. 그러면서 “미군은 한국 계엄령에 따르지 않는다. 지난 12월에도 그랬다”고도 했다. 주한 미군 관계자는 이번 대응에 대해 “주한 미군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 대중과 직접 소통하며 우리 활동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려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주한 미군이 이례적으로 특정 사용자의 허위 사실 유포를 조목조목 반박한 것은 지난 1월 일각에서 제기됐던 ‘계엄 당일 미군이 선거연수원에서 중국인 99명을 체포해 오키나와로 압송했다’는 가짜 뉴스 여파 때문이다. 우리 군 관계자는 “당시 주한 미군과 미 국방부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유튜브 등 온라인에서 해당 음모론이 퍼져나가면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며 “평소 주한 미군 소셜미디어 계정은 공식 행사 및 보도자료 내용을 알리는 정도였는데 대응 수위가 높아졌다”고 했다.한편 주한 미군은 영남권 산불이 확산하자 지난달 26일부터 제2전투항공여단 소속 치누크(CH-47) 헬기 1대와 블랙호크(UH-60) 헬기 4대를 산불 피해 지역에 전개해 산불 진화를 지원했다. 주한 미군은 당시 “한국인의 안전이 최우선이며, 주한 미군은 동맹국들의 요청이 있을 때 언제든지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0 Comments